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대게 고르는 법 4가지만 알면 호갱 탈출

by gkto 2022. 12. 25.

대게 고르는 법 4가지만 알면 호갱탈출

 

수산업을 전문으로 하지 않는 일반 소비자 입장에서는 어떤 대게가 수율 좋고 살이 꽉 찬 알짜 놈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사전 지식이 없으니까요.

 

그래서 돈 쓰고 호갱님 오셨습니까 소리를 들을 수밖에 없는데 지금부터 알려드리는 대게 고르는 법을 알면 호갱탈출 하는 겁니다.

 

1. 대게 제철은 언제?

포항제철할 때 제철이 아닙니다. 대게를 가장 맛있게 먹을 수 있는 대게 시즌을 말합니다. 대게 제철은 12월에서 3월까지 입니다. 이때 나오는 대게는 꿀맛입니다.

 

 

2. 대게 고르는 법은?

제철 대게라고 해서 모두 살이 꽉찬 실한 놈들로만 구성되어 있는 것은 아니겠지요. 좋은 대게 옥석 가리기 방법은 아래 4가지 기준만 딱 적용하면 됩니다.

 

홑게 불합격(fail)

'홑게' 라는 단어는 아마 처음 들어보신 분들도 많으실 텐데요. 홑게란 껍질이 하나뿐이라는 뜻입니다. 탈피를 통해 성장하는 갑각류인 대게에서 관찰되는 특징입니다.

 

그런데 홑게를 거르라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대게 입장에서는 탈피는 목숨을 걸 정도로 굉장히 위험하지만 필수적으로 통과해야만 하는 의식 같은 것입니다.

 

탈피할 때 매우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기 때문에 탈피 전에 미리 영양분을 저장해두었다가 탈피할 때 모든 에너지를 쏟아붓습니다.

 

쉽게 말해 탈피한 상태인 홑게는 영양분이 모두 빠져나간 상태와 비슷해 먹는 소비자 입장에서는 수율이 떨어져 좋은 대게라고 볼 수 없는 것입니다. 

 

하지만 시중에서는 홑게를 만날 확률이 매우 낮습니다. 10년 차 까지는 대게가 탈피를 하면서 성장하지만 그 이후에는 약 7년 동안은 탈피를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쪄 먹는 기준에서 봤을 때에는 수율이 떨어져 볼품없어 보이지만 홑게는 사실 아는 사람만 먹는 진미이기도 합니다.

 

탈피한 지 얼마 되지 않은 홑게는 껍데기가 딱딱하지 않고 물컹물컹하기 때문에 맛이 부드러워 쪄먹기보다 생선회처럼 회쳐먹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게 거머리 알(난낭)이 붙어있는 대게 합격(pass)

게 거머리 알을 '난낭' 이라고도 합니다. 대게 등껍질에 검은 알갱이 같은게 다닥다닥 붙어있어서 징그럽기도 하고 병든 대게가 아닌가 싶기도 하지만 사실 게 거머리 알인 난낭을 등껍질에 붙이고 있는 대게일수록 좋은 대게일 확률이 높습니다.

 

대게 등껍질에 붙은 게 거미리 알은 바다 거머리가 낳은 알인데 바다거머리는 딱딱한 바위 등에 알을 낳습니다.

 

그러므로 대게 등껍질에 바다 거머리 알이 붙어있다는 것은 바위로 착각할 정도로 딱딱한 등껍질을 가졌다는 것을 의미하고 탈피한 지 오래되어 수율이 좋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는 증거가 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기왕이연 난낭이 많이 붙어있는 대게를 고르는 것이 좋습니다.

 

 

배가 단단한 대게 합격(Pass)

다리부터 시작해서 몸통 쪽으로 살이 오르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대게는 배를 눌렀을 때 단단해야 수율이 잘 나오는 살이 꽉 찬 좋은 대게입니다.

 

검은색이 도는 배를 가진 대게 합격(pass)

촉감으로 눌러 확인할 수 있는 대게의 배 상태는 눈으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투명하기보다 거뭇거뭇하거나 검은색이 나는 것이 살이 튼실한 좋은 대게입니다.

 

 

3. 결론

홑게 여부, 게 거머리 알이 있는지 여부, 배가 단단한지 여부, 검은색이 도는 배를 가졌는지 여부만 잘 따지면 대게 고르는 법 바로 마스터 할 수 있습니다.

 

영덕대게 축제보다 좋았던 청담대게

대게 주문 방법 김프로 대게는 맛있게 잡솼어?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